About Past Issues Editorial Board

KAIST
BREAKTHROUGHS

Research Webzine of the KAIST College of Engineering since 2014

Fall 2024 Vol. 23
Sustainability

뉴타운 개발이 수도권의 탄소흡수원에 미치는 영향

August 29, 2024   hit 844

본 연구는 수도권의 개발에 따른 탄소흡수원 손실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완화하고 국가의 탄소 중립 전략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제언한다.

 

수도권의 뉴타운 개발은 탄소흡수원의 손실을 초래한다.

 

기후변화가 지속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탄소흡수원은 탄소를 흡수하거나 저장함으로써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생태계이다. 산림, 초지, 습지 등이 이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에서도 탄소중립은 중요한 국가 전략으로 선정되었으나, 아직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탄소흡수원 손실 원인 규정 및 보존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한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이다. 수도권에는 산림, Demilitarized Zone (DMZ), 그린벨트 등의 탄소흡수원이 있지만, 3차에 걸친 신도시 개발로 인해 이들의 손실이 있었다. 그린벨트가 해제된 지역에 신도시가 건설되며 탄소흡수원이 파괴된 것이다. 이러한 손실은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환경적 손실이라고 볼 수 있다.

 

토지피복도의 변화와 탄소흡수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rcGIS InVEST 모델이 사용되었다. 이 둘을 이용해 신도시 건설을 포착할 수 있는 2007년과 2021년을 비교하였다.
 
Figure 1 토지피복도 (2007년)Figure 2 토지피복도 (2021년)Figure 3 탐소흡수원에서 도시로 변화된 토지피복

Figure 1 Figure 2는 각각 2007년과 2021년의 토지피복도다. 수도권의 지속적인 스프롤 현상을 보여주며, 산림 지역이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3은 탄소흡수원에서 도시지역으로 변화된 지역, 즉 개발에 의한 탄소흡수원의 손실을 보여준다. 손실된 지역이 상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4 탄소흡수량 (2007년) Figure 5 탄소흡수량 (2021년)Figure 6 탄소흡수량의 변화

 

Figure 4 Figure 5는 각각 2007년과 2021년의 탄소저장량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색이 옅어졌는데, 이는 탄소저장량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Figure 6은 탄소흡수원의 변화를 보여준다.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라 탄소흡수원의 손실도 상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7

 

Figure 7은 수도권의 개발에 따른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보여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탄소흡수원의 손실이 있었다.

 

Figure 8, 9, 10은 뉴타운 개발 중 하나인 동탄의 개발이 탄소흡수원에 어떠한 영향을 줬는지를 보여준다. 각 이미지를 비교해보면 동탄의 개발에 따른 탄소흡수량의 증감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8 동탄의 위성사진Figure 9 동탄의 탄소흡수원에서 도시로의 변화Figure 10. Carbon stock changes in Dongtan

 

 

그린벨트를 해제함에 따라 해제된 곳에 뉴타운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개발은 탄소흡수원에서 바로 개발이 되거나, 탄소흡수원에서 농업 및 나지로 전환된 후 개발이 되는 단계를 거친다. 본 연구를 통해 탄소흡수원에서 개발이 되면 탄소흡수량이 감소했으나, 반면에 농업 및 나지를 거친 개발에서는 탄소흡수원이 일부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토지 피복 유형에 따른 적절한 도시 성장 관리 및 토지 보존이 필요하다. 기존의 탄소흡수원은 보존하고, 농업 및 나지로 개발할 때에는 대규모 공원 시스템을 조성한다면 지속가능한 개발 및 기후완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